2008.03.07 12:27
Yahoo, Fire Eagle beta 발표
미국 샌디에고에서 현지시간 3월 3일과 3월 6일 사이에 열린 O'Reilly의 ETech 2008 (Emerging Technology Conference 2008)에서 Yahoo는 2007년 가을에 제작중임을 발표했던 Web을 위한 위치 기반 플랫폼 'Fire Eagle'의 beta 구현을 발표하고, 파일럿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파일럿 서비스로는 Social-여행 정보 사이트인 Dopplr.com, 위치 기반 Twitter mashup 으로 소개되고 있는 Danger Day 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Fire Ealge - 개방형 위치 제공 플랫폼?
<이미지 출처 - ReadWriteWeb>
'Fire Eagle'은 최종 웹 사용자를 위한 직접적인 웹 서비스라기보다, 다른 웹 사이트와 온라인 서비스들과 개방형으로 연동하는 '위치 정보 제공 플랫폼'으로써 소개가 되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유선(Fixed network) 인터넷 서비스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이 '표현 능력'의 차이가 점점 희석되어 가고 있는 흐름을 우리는 보고 있습니다.
동일한 서비스/사이트에 사용자는 랜 화경에서의 유선 접속, 모바일 환경에서의 접속, 무선랜 환경에서의 접속을 통해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 갖추어져가고 있지요. (물론 웹사이트의 랜더링은 사용자 환경과 브라우저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최적화되겠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사용자가 어떤 식으로 접속해도 웬만하면 서비스 가능한 '위치 기반 기능'(Location Awareness)이라는 것은 직관적으로 아름답지만 구현하기에 만만치 않습니다.
PC 유선 인터넷 기반 , 무선랜(Wi-Fi) 기반 , 이동통신 기반 , Wibro(WiMax) 기반, GPS 칩 내장 단말의 능동적인 위치 보고 환경 등 이질적인 위치 Source에 개별적으로 접점을 가져야 가능할 '통합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기능을 일반적인 웹사이트들이 모두 갖추기를 기대하기란 어려운 일일 것이구요.
이런 상황을 기반으로, Yahoo는 정보 유출 없이 안전하게 tracking되는 개인(개인 사용자 단말)의 위치 수집 방법을 플랫폼으로 마련하고 이를 사용자가 방문하는 다른 사이트들과 Open API를 통해 연동하는 방식으로 '통합 위치 제공 센터'가 되고자 비전을 제시한 셈입니다.
경쟁 서비스는?
Yahoo라는 강력한 브랜드 네임과 신뢰성, OpenID와 Open API 에 대한 최근의 강한 드라이브 등에서 Yahoo에서 제공하는 오픈 Location 엔진(플랫폼?)이 더 주목을 받을 수는 있겠습니다만, 개별적인 차원에서 이런 컨셉을 추진하고 있는 기존 서비스들도 물론 있습니다.

Loki.com : Browser Plug-in 을 이용한 위치 정보 공유 시스템

Where.com : Location-enabled 웹/모바일 위젯(Widget) 엔진
System-to-System 오픈 API를 제공하느냐, 사용자 단말 측 Plug-in 을 통한 기능이냐 등의 기술 각론의 문제는 서비스의 성패를 위해 앞으로 이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세밀하게 튜닝되겠지만, 각각의 서비스의 발전방향을 살펴보는 것은 LBS 서비스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유용한 일이 될 것 같습니다.
각각의 서비스들에 대한 리뷰는 앞으로 추가로 마련하겠습니다.
바야흐로 유선(Fixed network) 인터넷 서비스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이 '표현 능력'의 차이가 점점 희석되어 가고 있는 흐름을 우리는 보고 있습니다.
동일한 서비스/사이트에 사용자는 랜 화경에서의 유선 접속, 모바일 환경에서의 접속, 무선랜 환경에서의 접속을 통해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 갖추어져가고 있지요. (물론 웹사이트의 랜더링은 사용자 환경과 브라우저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최적화되겠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사용자가 어떤 식으로 접속해도 웬만하면 서비스 가능한 '위치 기반 기능'(Location Awareness)이라는 것은 직관적으로 아름답지만 구현하기에 만만치 않습니다.
PC 유선 인터넷 기반 , 무선랜(Wi-Fi) 기반 , 이동통신 기반 , Wibro(WiMax) 기반, GPS 칩 내장 단말의 능동적인 위치 보고 환경 등 이질적인 위치 Source에 개별적으로 접점을 가져야 가능할 '통합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기능을 일반적인 웹사이트들이 모두 갖추기를 기대하기란 어려운 일일 것이구요.
이런 상황을 기반으로, Yahoo는 정보 유출 없이 안전하게 tracking되는 개인(개인 사용자 단말)의 위치 수집 방법을 플랫폼으로 마련하고 이를 사용자가 방문하는 다른 사이트들과 Open API를 통해 연동하는 방식으로 '통합 위치 제공 센터'가 되고자 비전을 제시한 셈입니다.
경쟁 서비스는?
Yahoo라는 강력한 브랜드 네임과 신뢰성, OpenID와 Open API 에 대한 최근의 강한 드라이브 등에서 Yahoo에서 제공하는 오픈 Location 엔진(플랫폼?)이 더 주목을 받을 수는 있겠습니다만, 개별적인 차원에서 이런 컨셉을 추진하고 있는 기존 서비스들도 물론 있습니다.
Loki.com : Browser Plug-in 을 이용한 위치 정보 공유 시스템
Where.com : Location-enabled 웹/모바일 위젯(Widget) 엔진
System-to-System 오픈 API를 제공하느냐, 사용자 단말 측 Plug-in 을 통한 기능이냐 등의 기술 각론의 문제는 서비스의 성패를 위해 앞으로 이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세밀하게 튜닝되겠지만, 각각의 서비스의 발전방향을 살펴보는 것은 LBS 서비스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유용한 일이 될 것 같습니다.
각각의 서비스들에 대한 리뷰는 앞으로 추가로 마련하겠습니다.
'LBS 뉴스 독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 년 : '위치 기반 서비스(LBS)의 해' ? (1) | 2008.04.04 |
---|---|
[국내 LBS 어플리케이션] GPS 골프 어플과 119 (7) | 2008.03.17 |
[ETech 2008] Fire Eagle 날다 - Yahoo의 오픈 LBS 비젼 (2) | 2008.03.07 |
해양수산부와 DGPS (Differential GPS) (1) | 2008.03.05 |
[LBS in MWC2008-5] TCS의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 Server (2) | 2008.03.04 |
[LBS in MWC2008-4] "기존의 이동전화 GPS는 실망스러웠다"-CSR의 eGPS (2) | 2008.02.25 |